본문 바로가기

에어프레미아4

[에어프레미아] 01_하이브리드 서비스 캐리어(HSC)의 차별성과 기대감 그리고 성장통

FSC보다 저렴하고, LCC보다 좋은 서비스로 차별화를 추구하다1. 국내 최초의 하이브리드 서비스 캐리어(HSC)대한민국 항공산업은 다양한 국적 항공사들의 경쟁과 협력을 통해 발전해 왔습니다. 현재 국내 항공사는 풀 서비스 캐리어(FSC) 와 저비용 항공사(LCC) 로 나뉘며, 대표적으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FSC, 제주항공과 진에어 등이 LCC로 운영되고 있습니다.그러나 에어프레미아(Air Premia) 는 기존의 두 가지 모델과 차별화된 하이브리드 서비스 캐리어(HSC, Hybrid Service Carrier) 를 지향하며, FSC보다 합리적인 가격과 LCC보다 높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였습니다.2. 장거리 노선 도전, B787-9 드림라이너 도입기존 LCC 항공.. 항공분야/항공사 이야기 2025. 2. 2.

[에어프레미아 지분 분석] (4) JC파트너스가 보유한 Drag-Along Right(동반매도청구권)이 AP홀딩스와 대명소노에 미치는 영향

부제 : JC파트너스 지분 22%를 비싸게 매입할 것인가? 아니면 AP홀딩스 지분(46%)을 비싸게 팔 것인가?안녕하세요, 바른소리84입니다.지난 포스팅에 이어, 에어프레미아의 주인을 결정할 Drag-Along Right(동반매도청구권)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지키고 싶은 AP홀딩스와 빼앗고 싶은 대명소노, 그리고 떠나고 싶은 JC파트너스의 입장과 시나리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현재 에어프레미아의 대주주는 46%의 AP홀딩스와 22%의 JC파트너스입니다. 일반적인 경영권 분쟁 상태라면 AP홀딩스가 4%이상 지분을 추가로 확보하여 50%를 넘김으로써 안정적으로 승리하는 구조입니다.하지만, 과거 1대주주였던 JC파트너스는 AP홀딩스에게 지분을 매각할 당시 주주간 계약을 맺었고, Drag-Along Right.. 항공분야/항공사 이야기 2025. 2. 1.

[에어프레미아 지분 분석] (1) 이례적으로 비상장회사 지분을 공개한 이유는?_AP홀딩스와 대명소노 그리고 JC파트너스

지키고 싶은 AP홀딩스, 빠지고 싶은 JC파트너스, 뺏고 싶은 대명소노비상장회사인 에어프레미아는 이례적으로 지분을 공개함 (2024년 10월 12일)EXIT하고 싶은 JC파트너스가 주인공이 되고 싶은 대명소노를 위해 복잡한 지분관계를 공개적으로 정리해주고, 세간의 관심을 대명소노측에 쏠리게 한 것은 아닐까?과연, 대명소노(소노인터내셔널)는 에어프레미아의 주인이 될 수 있을것인지?① 현상유지 AP홀딩스, 무조건 EXIT JC 파트너스, 이목집중 대명소노이번 포스팅은 국적 항공사 중 HSC를 표방하고, 장거리 미국 노선이 운항 가능한 에어프레미아의 지분구조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경영권 분쟁이 어떻게 흘러갈지 예상해보고자 합니다.주요 주주로 AP홀딩스, JC파트너스, 그리고 대명소노, 서울리거계열, 박봉철 등이.. 항공분야/항공사 이야기 2025. 1. 30.

[항공사 이야기] 대한항공의_대한항공에 의한_대한항공을 위한_국내 항공산업 개편의 시작

부제 : 2025년은 대한항공의 대한항공에 의한 대한항공을 위한 국토부의 항공산업 개편 시작의 해2025년에는 대한항공-아시아나 통합 추진 1년차, 아시아나 화물사업을 인수한 에어인천의 공식적인 출범, 대한항공-이사아나 계열 자회사 통합 LCC 출범 등 국책과제급의 항공산업 개편이 예고되어 있습니다.이에, 국토부는 국제선 네트워크 개편이라는 계획 하에, 대한항공과 이시아나항공 합병에 대한 후속조치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통합 FSC는 대한항공을 의미하는 것일 테고, 화물전용항공사 출범은 아시아나 화물 사업을 인수한 에어인천을 뜻하는 것 같습니다.통합 FSC 등 출범이라고 표시해서 약 2년간의 국토부 지원계획이 수립되었습니다. 화물전용항공사는 올해 6월이 목표이고, 통합 FSC는 26년 말 전에 해결할 계.. 항공분야/항공사 이야기 2025.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