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분야/항공사 이야기12

[에어프레미아] (4) 최대 실적에도 불구하고 승무원 무급휴직 단행

지분 경쟁 예상 속 에어프레미아의 가치 고평가 우려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인 에어프레미아가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무급휴직을 시행했다. 항공기 도입 지연과 글로벌 공급망 문제로 인한 엔진 부품 부족으로 인해 불가피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온다. 1. 에어프레미아의 무급휴직 시행 배경1) 항공기 도입 지연과 여유 인력 문제에어프레미아는 올해 항공기 기재 도입을 목표로 작년에 약 160명의 객실승무원을 신규 채용했다. 그러나 항공기 도입 일정이 차질을 빚으며 일부 인력이 필요 인원을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 도입 예정이던 보잉 B787-9 항공기 3대 중 1대의 도입이 1월에서 3월로 연기되면서 예상보다 많은 승무원이 대기 상태에 놓이게 됐다.. 항공분야/항공사 이야기 2025. 3. 5.

[에어프레미아] (3) 재무구조 개선 명령에도 유상증자는 진행되지 않았다. 타이어뱅크(AP홀딩스) vs 대명소노

에어프레미아 1대 주주인 AP홀딩스가 국토부의 재무구조 개선명령에도 유상증자를 하지 않는 이유 안녕하세요, 바른소리84입니다.최근 에어프레미아가 국토교통부로부터 면허 취소 사유가 될 수 있는 재무구조 개선명령을 받았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면허 취소 리스크가 현실화될 수 있는 상황인데요, 일반적으로 이런 상황에서는 기존 경영진과 대주주들이 자금을 투입하여 회사를 구제하려 합니다. 그러나 에어프레미아는 지난해 유상증자를 취소한 바 있습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 그 배경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1. 경영권 분쟁과 유상증자에어프레미아는 2024년 9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재무구조 개선명령을 받았다는 사실이 보도되었습니다. 당시 유상증자가 진행 중이었는데, 이때 대주주들은 면허 취소의 위험을.. 항공분야/항공사 이야기 2025. 2. 23.

[에어부산] 매출 1조원 돌파한 에어부산, 놓치기 너무 아쉬운 부산(가덕도 신공항 거점항공사는 어디?)

- 에어부산 1조원 매출 기록과 갈 곳 잃은 가덕도 신공항- 외환손실과 환 헷지의 중요성 부각, 통합 LCC 출범과 부산의 공항 위기, 가덕도 신공항에 미칠 경제적 영향안녕하세요, 바른소리84입니다.에어부산이 2024년 매출 1조 원을 돌파하며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예상보다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에어부산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항공사들이 매출은 크게 증가하였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손실은 하락하는 상황이 공통적으로 전망됩니다.2025.02.11 - [항공분야/항공사 이야기] - [항공사 실적 분석] 2024년 항공사별 매출 영업이익 그리고 당기순이익 전망(종합) [항공사 실적 분석] 2024년 항공사별 매출 영업이익 그리고 당기순이익 전망(종합)대한항공은 날아오르고, 나머지는 글쎄... 항공분야/항공사 이야기 2025. 2. 11.

[항공사 실적 분석] 2024년 항공사별 매출 영업이익 그리고 당기순이익 전망(종합)

대한항공은 날아오르고, 나머지는 글쎄...안녕하세요, 바른소리84입니다.최근 항공사들이 2024년 실적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아직 회계감사와 이사회승인이 남아있기 때문에 확정 실적은 3월 이후 확인이 가능할 예정입니다만, 전자정보공시에 미리 올라온 공시들을 토대로 간략히 아라보겠습니다.① 우리나라 항공사 종류아시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현재 항공기를 등록해서 운항할 수 있는 항공사는 총 12개입니다.2023년 기준 항공사별 항공기 보유대수 현황(항공통계)에 따르면 항공사는 총 12개이고 항공기 대수가 많은 6개 사는 상장사, 그렇지 않은 항공사 6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항공기가 약 20대는 있어야 상장할 수 있는 규모가 되는 것 같습니다.② 항공사별 과거 매출/영업이익항공통계에서 공시한 항공사별 매출.. 항공분야/항공사 이야기 2025. 2. 11.

[에어프레미아] (2) 자본잠식 3년째, 경영권분쟁보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유상증자가 먼저

경영권 분쟁보다 유상증자가 먼저안녕하세요, 바른소리84 입니다.오늘은 에어프레미아의 재무건정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① 매출 성장세 지속에어프레미아는 운항을 시작한 2021년 25억원이 매출 이후 202년에는 532억원, 2023년에는 3,751억원을 달성했고 2024년에는 5000억원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2025년 3월 공시자료를 확인해봐야겠지만, 2024년 목표치는 달성한 것으로 보입니다. 성장세가 아주 보기 좋습니다.이러한 매출 성장은 항공기 운항 대수와 연관이 있습니다. 본래 항공사는 항공기를 운항하여 승객/화물을 운송하는 사업으로 주요 자산인 항공기가 확보되어야 매출이 발생합니다. 2023년에는 운항효율이 좋고 중대형급 기종인 B-787-9드림라이너를 추가 도입하여 총 5대를 운항하였습니다. .. 항공분야/항공사 이야기 2025.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