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협정2 [항공 상식] 운수권 ② 항공자유화협정과 운수권 협정 항공자유화협정과 운수권협정의 차이점을 알아보자안녕하세요, 바른소리84입니다. 항공상식 운수권의 2번째 포스팅입니다.지난 포스팅에서는 타 국가로의 항공수요가 발생하게 되면 국가의 관료들이 양국의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상호 협의 하에 항공회담을 개최하고, 이 회담에서 양 국가의 상호 운항조건 등을 협의하여 항공협정을 체결하게 된다고 알려드렸습니다. 이 협정 내용의 범위와 수준에 따라 “항공자유화협정”과 “운수권 협정”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① 운수권(항공의 자유) 기본 개념운수권은 각 국가의 영공에 대한 권리 관계를 뜻합니다. 이러한 권리의 기준과 범위를 각 국가마다 정의하면 혼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국제표준이 요구되며 항공 관련 국제항공 기구인 국제민간항공기구(IC.. 항공분야/항공상식 2025. 2. 6. 더보기 ›› [항공 상식] 운수권 ① 항공회담을 통한 항공협정 체결로 시작 운수권을 이해하기 위해 그 시작인 항공회담과 항공협정부터 알고 가자 안녕하세요, 바른소리84입니다.오늘은 항공상식 시리즈 중 운수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항공권을 살 돈만 있으면, 항공사를 통해 세계 어디든 갈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항공사마다 갈 수 있는 국가가 다르다는 사실 또한 알고 있습니다. 반대로 해외 항공사 중 우리나라에 들어오지 않는 항공사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우선 우리가 흔히 들어왔던 운수권에 대해 알아봐야 합니다. 그리고 운수권을 이해하기 위해 그 시작이 되는 항공회담부터 운수권 배분까지의 과정을 살펴볼까 합니다.① 항공사는 어디든 운항할 수 있을까?우리나라의 항공사가 여행수요를 반영해서 새로운 국가의 도시에 취항하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이 필요할까요? 우리.. 항공분야/항공상식 2025. 2. 5. 더보기 ›› 이전 1 다음